티스토리 뷰

심리학에서 쓰이는 용어중 방관자 효과(bystander effect)라는 말이 있습니다.

주위에 사람이 많을 수록 책임감이 분산되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지 않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말은 1964년 뉴욕에서 키티 제노비스 여성이 새벽에 자기 집 근처에서 강도에게 강간당한 뒤 살해당한 사건때문에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제노비스는 격렬한 저항으로 인해 35분간 강도와 사투를 벌이고 세 차례 공격받는 동안 주위 38가구가 그 소리를 들었지만 아무도 나오지 않아 결국 그녀는 살해당하고 맙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미국 사회는 충격에 빠졌습니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있는 주택가에서 발생한 사건이었는데 아무도 신고하지 않아서 나온 결과 였기 때문입니다.


학계에서도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후에 방관자 효과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습니다.




심리학에선 방관자 효과라고 합니다.

어떤 상황에서 여러명의 목격자들이 있을때 누가 구해주겠지라는 생각으로 아무도 그 일을 해결해주지 않는 현상입니다.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사람은 무관심으로 일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학자는 방송에서 도움을 청할 일이 있으면 "누가 도와줘요"라고 말하는게 아니라 콕 찝어서 "저기 회색 코트입은 아저씨 저 좀 도와 주세요"라고 말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이 사건을 처음 보도한 뉴욕 타임스의 보도가 실제 상황과는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기사에서는 무려 38명이나 되는 목격자들이 범행사실을 보고도 외면했다 보도하였습니다.



그러나 무관심한 사람들의 문제가 아니라 주택가라고 하지만 상황을 분간할 수 없는 새벽에 비교적 먼거리에서 발생한 일이라 실제로는 대다수의 주민들은 바깥 상황을 정확히 인지 할 수 없어 단순히 주정꾼의 싸움으로 생각했다고 합니다.


반면에 피해자가 처한 상황을 제대로 알았지만 이를 외면한 주민은 보도와는 다른 단 세 명이었다고 합니다. 

물론 현장을 목격하고 신고한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신고자 중에 한 명은 경찰로부터 신고확인증까지 받은 사람도 있고 소피아라는 한 고령의 주부는 뛰쳐나가서 구급차가 올 때까지 피해자를 보호하기도 했습니다. 

안타깝게도 피해자는 이후 병원으로 실려가던 중 결국 사망했습니다. 


문제는 경찰이 여자가 폭행을 당했지만 범인은 도망갔고 여자는 일어나 걸어가고 있다는 신고를 듣고 단순 가정폭력 사건으로 생각해서 시간을 미룬것이 이 사건을 크게 만들었습니다.

이쯤 되면 방관자는 경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뉴욕 타임스가 사실대로 3명만이 사건을 알아채고도 외면했다고 쓰지 않고 목격자가 38명이나 있었는데 아무도 신고하지 않았다고 기사를 부풀려서 내보냈습니다.

상상속에서 실현가능한 이야기를 현실처럼 만들어 내면 사람들이 그걸 되풀이하며 그럴싸 하다고 믿기 시작합니다.

도시전설이 시작되는 상황입니다.


사건은 이렇게 정리가 되었는데 요즘도 방관자 효과를 들먹이며 사회 분위기가 나쁜쪽으로 몰고가는 기사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누군가 어려움이 닥칠때 그걸 보고 누군가 대신해주겠지 하는 '방관자 효과'라는게 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